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 [2025 참깨 병해충 완전정복] 탄저병부터 흰가루병까지, 증상·약제·예방법 한 번에 정리!

    [2025 참깨 병해충 완전정복] 탄저병부터 흰가루병까지, 증상·약제·예방법 한 번에 정리!

    🌿[2025 참깨 병해충 완전정복] 탄저병부터 흰가루병까지, 증상·약제·예방법 한 번에 정리!

    참깨 병해 방제 약제 비교표 + 방제 캘린더.pdf
    3.80MB

    2025 최신 참깨 병해충 가이드. 탄저병, 흰가루병, 세균병 등 주요 병해의 증상, 방제 약제, 예방법까지 사진과 함께 정리했습니다. 약제 PDF 파일도 함께 제공합니다.


    ✅ 왜 지금 ‘참깨 병해충’이 중요한가?

    2025년 여름, 참깨 재배 농가에 병해충 경보가 다시 울리고 있습니다.
    특히 고온다습한 환경과 장마 후 급격한 고온은 병원균 번식에 최적 조건이 되며, 탄저병과 흰가루병, 세균병 등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습니다.

    이 글에서는 현장 사진 기반 증상 설명부터,
    농가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약제, 예방 전략, 방제 캘린더까지 총망라해 정리합니다.

    👉 글 하단에는 약제 비교표 + 방제 캘린더 PDF 다운로드도 제공하니 꼭 확인하세요.


     참깨 탄저병 (Anthracnose) 사례이미지

    참깨 탄저병 (Anthracnose) 사례이미지

    🔍 주요 참깨병해 1: 참깨 탄저병 (Anthracnose)

    • 증상 요약:
      • 잎, 줄기, 꼬투리에 갈색의 동심원 무늬 발생
      • 중앙은 회백색, 가장자리는 진갈색
      • 점차 병반이 넓어지며 조직 괴사
    • 원인: Colletotrichum dematium 계열
    • 전염 경로: 병든 잎, 종자, 토양, 비산 등
    • 심각도: ★★★★★
    • 방제 약제:
      • 메타락실(Metalaxyl), 디페노코나졸, 아족시스트로빈
      • 📎 혼용 사용 가능 여부는 PDF 참고
    • 예방 팁:
      • 비온 후 잎 마르기 전 약제 살포
      • 통풍 확보, 밀식 금지

    🌿 참깨병해 탄저병 피해 사례 정리 (2025년 기준)

    🩸 참깨병해 사례 1 – 잎에 동심원형 병반 발생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잎 표면에 갈색의 원형 병반이 형성되며, 중심부는 회백색으로 바뀜
      ➤ 시간이 지나면 병반 주변이 갈라지고, 잎이 말라 떨어짐

    🪵 참깨병해 사례 2 – 줄기 부위 괴사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줄기 아래쪽부터 갈색 반점이 올라오고, 점차 껍질이 벗겨지듯 손상
      ➤ 줄기가 부러져 쓰러지는 개체 발생

    🫘 참깨병해 사례 3 – 꼬투리(열매) 부패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꼬투리 표면에 암갈색 병반이 생기며, 씨앗이 성숙하지 못하고 썩음
      ➤ 수확 시 쭉정이 발생 비율 증가

    🔄 공통점

    • 장마 직후 빠르게 확산
    •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특히 심각
    • 병든 식물 주변으로 전염 빨라짐

     참깨 흰가루병 (Powdery mildew)

    참깨 흰가루병 (Powdery mildew)

    🍂 주요 참깨 병해 2: 참깨 흰가루병 (Powdery mildew)

    • 증상:
      • 잎 뒷면에 흰색 가루 형태의 곰팡이 덮임
      • 생장 정지, 심할 경우 조기 낙엽
      • 광합성 저하로 수확량 급감
    • 원인균: Erysiphales
    • 심각도: ★★★☆☆
    • 약제 추천:
      • 헥사코나졸, 프로피네브 등 곰팡이형 살균제
      • 생물학적 방제로 유산균 희석액 활용 사례 있음
    • 예방 전략:
      • 고온다습 조건 조절
      • 바람 통하는 방향으로 재배

    🌿 참깨병해 흰가루병 피해 사례 (2025년)

    🌫️ 참깨병해 사례 1 – 잎 뒷면 전체에 흰가루 덮임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잎 뒷면부터 시작해 흰색 분말 같은 곰팡이층이 넓게 퍼짐
      ➤ 초기엔 작은 흰 반점, 이후 전체 잎이 흰가루로 덮임

    🍂 참개병해 사례 2 – 잎 조직 괴사 및 조기 낙엽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흰가루가 퍼진 잎은 노랗게 변색되며 가장자리가 마르고 말림
      ➤ 광합성 저하 → 잎이 떨어짐 → 생육 정지

    🌱 참깨병해 사례 3 – 어린 잎 피해 집중

    • 피해 양상:
      신엽(어린 잎)에 먼저 발생하며, 성장이 멈추고 잎 크기가 작아짐
      ➤ 병든 신엽은 대부분 말라 죽음

    🧩 공통 특징

    • 고온건조 + 밤습 환경에서 급속 확산
    • 초기엔 놓치기 쉬우며, 1주일 내 피해 확산률 매우 높음
    • 방제 미흡 시 수확량 30~50% 감소 사례 다수

    🌿 기타 병해: 세균성 잎마름병, 모자이크병 등

    병해이름 주요증상 약제 주의사항
    세균성 잎마름병 잎 끝부터 마름, 황변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초기 방제 중요
    모자이크병 잎에 황록색 얼룩무늬 없음(바이러스성) 매개충(진딧물) 방제
     

    📌 바이러스성 병해는 약제 없음 → 매개충 차단 필수!


    🧪 참깨병해 방제 약제 비교표 요약

    약제명 병해종류 혼용가능성 가격대 유기농여부
    디페노코나졸 탄저병 중간
    헥사코나졸 흰가루병 낮음
    농업유산균액 흰가루병 낮음

    📅 참깨병해 월별 방제 캘린더

    방제대상 방제시기 약제추천
    6월 진딧물 초기 파종 후 2~3주 아세타미프리드
    7월 탄저병/흰가루병 장마 직후 메타락실, 헥사코나졸
    8월 잎마름병 고온기 옥시테트라사이클린

     ✅ 마무리: 지속 가능한 참깨 농사, 참깨 병해 예측이 핵심입니다

    2025년은 날씨 변화가 극심한 해로, 참깨 병해 역시 이전보다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.
    이제는 참깨 예방 중심의 병해 전략이 필요한 시기입니다.

    • 정기적인 예찰
    • 주간 예보 기반 약제 살포
    • 친환경 방제 시도

    이 세 가지 원칙만 지켜도 수확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.

    ⚠️ 참깨, 들깨 수확 및 저장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기


    📎 같이보면 좋은글 추천

     

    2025 고추 병해 총정리 -탄저병·역병·칼라병 증상부터 약제·잎색 진단까지

    조경재테크 클릭 2025 고추 병해 총정리 - 탄저병·역병·칼라병 증상부터 약제·잎색 진단까지 2025 고추 병해 총정리 🔎 탄저병·역병·칼라병 증상부터 약제·잎색 진단까지잎의 색만 봐도 고추

    gardener77.com

     

    2025 들깨·참깨 수확 & 저장법 완벽 가이드 – 옥상 텃밭도 가능한 실전 노하우

    💡 조경으로 힐링과 더불어 수익화도 가능합니다.조경재테크 클릭 2025 들깨·참깨 수확 & 저장법 완벽 가이드 – 옥상 텃밭도 가능한 실전 노하우 2025 들깨·참깨 수확 & 저장법 완벽 가이드 –

    gardener77.com

     

    2025 참깨 병충해·고추 증상·들깨 방제법 총정리 – 옥상조경 작물별 대응 가이드

    돈버는 조경수 추천 2025 참깨 병충해·고추 증상·들깨 방제법 총정리 – 옥상조경 작물별 대응 가이드 🌿2025 참깨 병충해·고추 증상·들깨 방제법 총정리 – 옥상조경 작물별 대응 가이드✅ 옥

    gardener77.com

    📘 다운로드 자료 

    참깨 병해 방제 약제 비교표 + 방제 캘린더.pdf
    3.80MB

     

    ⚠️ 참깨를 연작할 경우 병원균과 해충이 토양에 남아 재발생  위험할 수 있습니다.

    • 탄저병, 흰가루병, 세균병 등의 병원균은 토양 속에서 수년간 생존 가능
    • 매년 참깨를 재배하면 병원균 밀도 증가 → 조기 발병 가능성↑